본문
안녕하세요! IT 인프라 전문 기업 (주)테온입니다.
최근 개인, 가정, 중소기업, 대기업 등 다양한 환경에서 NAS(Network Attached Storage)의 도입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NAS의 주요 활용 사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데이터 저장 및 중앙화

개인 및 가정에서는 스마트폰과 PC에 저장된 사진, 동영상, 문서 파일을 대용량 공간에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NAS를 활용하며,
DLNA, Plex 등의 앱을 통해 저장된 미디어를 스트리밍하거나 외부에서도 NAS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합니다.
기업에서는 문서 중앙화를 위해 NAS를 도입하며, 다양한 운영체제(Mac, Windows, Linux)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도 프로토콜과 앱을 통해 효율적인 데이터 저장이 가능합니다.
2. 데이터 보호 기능
NAS는 RAID 구성을 통해 디스크 장애 시에도 데이터 유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스냅샷 기능을 통해 랜섬웨어 공격이나 실수로 인한 파일 삭제에도 쉽게 복원할 수 있으며, 다른 NAS 장비나 클라우드에 자동 백업하여 재해나 사고 발생 시에도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합니다.
보안 측면에서는 암호화, 접근 제어, IP 차단, 2단계 인증(MFA), SSL 연결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외부의 침입을 사전에 방지합니다.
3. 효율적인 데이터 공유

NAS는 다수의 사용자가 데이터를 공유해야 하는 환경에서 USB나 이메일을 통한 번거로운 공유 방식을 대체합니다.
한 사용자가 문서를 편집 중일 때 다른 사용자는 "읽기 전용"으로 접근하여 덮어쓰기 등의 문제를 방지하며, 실시간으로 파일에 접근할 수 있어 협업이 원활해집니다.
4. 권한 설정 및 용량 할당

NAS는 사용자별 또는 부서별로 접근 권한을 설정하여 기밀 유출을 방지합니다.
또한, 용량 할당(Quota) 기능을 통해 특정 부서나 사용자가 과도하게 NAS의 용량을 사용하지 않도록 제한하여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5. 체계적인 관리 기능

NAS는 냉각 팬 상태, 내부 온도, 전원 상태, 디스크 상태, CPU와 메모리 사용량 등 전반적인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문제 발생 시 비프음, LED, 이메일, 앱 알림 등을 통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스케줄 기반 전원 켜기/끄기 기능을 통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6. 로그 관리
NAS는 사용자 접근 로그와 이벤트 로그를 통해 사용 내역과 시스템 상태를 추적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해킹 공격, 데이터 누출, 악의적이거나 실수에 의한 데이터 삭제 등의 사고에 대한 명확한 증거를 확보하고, 시스템 장애의 원인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NAS는 다양한 환경에서 데이터 저장, 보호, 공유, 관리 등 여러 측면에서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테온은 고객의 요구에 맞는 최적의 NAS 솔루션을 제공해드리고 있습니다.
이것으로 "NAS, 왜 필요한가요? 다양한 환경에서의 활용 사례 1부"를 마치며
다음 글에서는 2부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다음글
- 전산실이란?
- 24.10.04